2024.05.20 (월)

  • 흐림속초13.4℃
  • 맑음18.9℃
  • 흐림철원17.8℃
  • 구름많음동두천17.5℃
  • 맑음파주15.1℃
  • 구름많음대관령9.6℃
  • 맑음춘천17.8℃
  • 맑음백령도12.9℃
  • 흐림북강릉13.5℃
  • 흐림강릉14.5℃
  • 흐림동해14.6℃
  • 맑음서울17.5℃
  • 흐림인천15.2℃
  • 맑음원주19.8℃
  • 구름조금울릉도14.0℃
  • 구름많음수원16.5℃
  • 맑음영월16.9℃
  • 구름조금충주19.1℃
  • 구름많음서산17.3℃
  • 흐림울진14.8℃
  • 맑음청주20.7℃
  • 맑음대전19.1℃
  • 구름조금추풍령15.9℃
  • 구름조금안동19.3℃
  • 맑음상주19.6℃
  • 구름조금포항15.9℃
  • 맑음군산17.4℃
  • 구름조금대구17.4℃
  • 구름조금전주19.0℃
  • 구름조금울산15.7℃
  • 구름조금창원18.8℃
  • 맑음광주19.9℃
  • 구름조금부산17.6℃
  • 구름조금통영18.6℃
  • 구름조금목포18.1℃
  • 구름조금여수21.5℃
  • 맑음흑산도16.4℃
  • 구름조금완도19.1℃
  • 맑음고창
  • 맑음순천16.8℃
  • 맑음홍성(예)17.9℃
  • 맑음18.7℃
  • 구름많음제주20.1℃
  • 구름많음고산18.4℃
  • 구름많음성산16.9℃
  • 구름많음서귀포19.8℃
  • 맑음진주18.1℃
  • 흐림강화14.8℃
  • 맑음양평18.5℃
  • 맑음이천19.2℃
  • 맑음인제15.2℃
  • 맑음홍천17.7℃
  • 구름조금태백13.4℃
  • 맑음정선군16.8℃
  • 맑음제천16.7℃
  • 맑음보은17.4℃
  • 맑음천안18.8℃
  • 맑음보령16.7℃
  • 맑음부여18.0℃
  • 맑음금산18.7℃
  • 맑음18.5℃
  • 맑음부안17.4℃
  • 맑음임실17.6℃
  • 맑음정읍17.8℃
  • 맑음남원20.0℃
  • 맑음장수14.9℃
  • 맑음고창군16.2℃
  • 맑음영광군16.9℃
  • 구름조금김해시18.4℃
  • 맑음순창군19.1℃
  • 맑음북창원19.9℃
  • 구름조금양산시19.4℃
  • 구름많음보성군21.1℃
  • 구름많음강진군19.5℃
  • 구름많음장흥18.1℃
  • 구름많음해남17.9℃
  • 구름많음고흥18.5℃
  • 맑음의령군18.5℃
  • 구름조금함양군16.8℃
  • 구름조금광양시21.6℃
  • 구름조금진도군17.6℃
  • 맑음봉화16.3℃
  • 맑음영주16.3℃
  • 맑음문경17.2℃
  • 맑음청송군14.7℃
  • 흐림영덕14.7℃
  • 구름조금의성17.0℃
  • 구름많음구미19.6℃
  • 맑음영천15.4℃
  • 구름많음경주시16.2℃
  • 구름조금거창16.3℃
  • 구름조금합천18.6℃
  • 구름조금밀양21.4℃
  • 맑음산청18.9℃
  • 구름조금거제18.2℃
  • 구름조금남해20.3℃
  • 구름조금18.9℃
시창작의 핵심은 무엇일까 (4)
  •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

여수사람들과 함께하는 인문학산책

시창작의 핵심은 무엇일까 (4)

시창작의 핵심은 무엇일까(4)
--역사와 시(詩)의 함수

이민숙.png

이민숙 여수샘뿔인문학 연구소 소장- 시인

 

 

 

 

 

일송정 푸른 솔은 홀로 늙어갔어도

한 줄기 해란강은 천년 두고 흐른다

지난 날 강가에서 말 달리던 선구자

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

 

 

용두레 우물가에 밤새 소리 들릴 때

뜻 깊은 용문교에 달빛 고이 비친다

이역 하늘 바라보며 활을 쏘던 선구자(A)

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

 

 

용주사 저녁종이 비암산에 울릴 때

사나이 굳은 마음 깊이 새겨두었네

조국을 찾겠노라 맹세하던 선구자(B)

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

 

 

-<선구자> /윤해영 작사 조두남 작곡/ 원제:<용정의 노래>

 

 

일제의 폭압이 극에 달했던 1933년 이 노래가 만들어졌다 한다.

 

 

시인 윤동주가 용정 은진중학교에 입학한 다음 해. 필자가 줄그어 표시한 부분은 작사를 했던

 

 

윤해영의 노래 구절이 아니라 용정에 발 디뎌 본 적 없었던 작곡자 조두남이 임의로 개사를 했다고 한다.

 

 

원래의 표현은 눈물 젖은 보따리’(A)흘러 흘러온 신세’(B)라고 한다. 어쨌든 그 시절의 용정과 만주, 우리 민족의 산천은 일제의 침탈에 먹을 것 입을 것 다 빼앗겨 눈물 젖은 보따리의 신세였던 것이다.

 

 

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에 이르기까지 역사는 그늘져있는데, 이 굴곡진 심리적 박탈감이 20238, 이 날 이 시각까지 이르렀다는 게 통탄할 뿐이다.

 

 

저 거친 꿈의 선구자들은 무덤에서조차 벌떡 일어나 구천을 헤맬 것만 같다. 가슴 깊이 사죄하는 아침이다.

 

 

여기에서, 시 읽기의 한 지혜는 역사의 사실과 원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 읽어나갈 것, 그리하여 창작의 진실성을 확보한 후의 시어 선택의 적절한 과정을 습작에도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.

 

 

시적 상상력이 완성의 과정에서 중요하다 하더라도 역사적 진실에 있어서의 상상은 좀 더 비판적인 시각을 담보해야 하며 그 비판에 쓰이는 언어선택의 적절성도 사실이 담보된 후에라야 적확한 표현의 미를 구사할 수 있을 터!

 

 

 

 

거 나를 부르는 것이 누구요.

 

 

가랑잎 이파리 푸르러 나오는 그늘인데,

나 아직 여기 호흡이 남아 있소.

 

 

한 번도 손들어 보지 못한 나를

손들어 표할 하늘도 없는 나를

 

 

어디에 내 한 몸 둘 하늘이 있어

나를 부르는 것이오.

 

 

일을 마치고 내 죽는 날 아침에는

서럽지도 않은 가랑잎이 떨어질 텐데... ...

 

 

나를 부르지 마오.

 

 

-<무서운 시간>/윤동주/

 

 

엄연한 시절, 청춘의 시절, 윤동주의 시는 어둠 속 별이다. 사위는 깜깜 밤이나 시어가 가리키는 절실함이야말로 시에서의 가장 빛나는 절절함이다.

 

 

얼마나 무서웠을까. 그는 용기와 함께 언어를 뱉는 순간에도 무서웠고 부끄러웠다. 그것은 몸 둘 하늘이 없었던 탓이다.

 

 

그는 더럽혀진 조국의 하늘 아래 찢겨진 민족의 영혼 곁에서 늘 시를 썼으나, 한 마디 결연하고 빛나는 시어를 직조할 수 없는 것처럼 표현했다.

 

 

모든 시가 너무 쉽게 써져-쉽게 씌어진 시/윤동주- 부끄럽다 하였다. 그의 부끄러움은 시 서시에 더욱 명징하게 표현되었다. ‘잎새에 이는 바람에도/나는 괴로워했다.’

 

 

창 밖에 밤비가 속살거려

육첩방(六疊房)은 남의 나라.

 

 

시인이란 슬픈 천명(天命)인 줄 알면서도

한 줄 시 적어 볼까.

 

 

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

보내 주신 학비 봉투를 받아

 

 

대학 노트를 끼고

늙은 교수의 강의를 들으러 간다.

 

 

생각해 보면 어릴 때 동무를

하나, , 죄다 잃어버리고

 

 

나는 무얼 바라

나는 다만, 홀로 침전(沈澱)하는 것일까?

 

 

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

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

부끄러운 일이다.

 

 

육첩방은 남의 나라

창 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,

 

 

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,

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,

 

 

나는 나에게 적은 손을 내밀어

눈물과 위안으로 잡는 최초의 악수.

 

 

-<쉽게 씌어진 시>/윤동주

 

 

윤동주의 마지막 시다.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온갖 생체실험의 혹독한 고통으로 시달리다가 29세 된 1945년 사망하고 말았던 윤동주,

 

 

역사의 오류요 인류 잔혹한 전쟁놀음의 오류로 희생된 윤동주, 그의 영혼이 빚은 시들은 그러나 맑고 아름답다 아니 처절하다.

 

 

또한 결연하며 치열하다. 우리의 시 정신이 탁류에 휩쓸릴 때, 헹궈야 할 때, 윤동주의 혼이 담긴 시야말로 읽고 또 사랑할 그런 시의 원류가 될 것이다.

 

 

시창작이란, 역사의 오류를 톺아가는 작업 아닐까 싶은 것이다. 우리에게 질펀한 그 오류의 시기, 지금도 시의 본령은 우리 민족이 살았던 땅과 저 먼 바다를 관통하고 있다. 역사와 역사의 인물을 통해 시 창작을 실현할 작금의 과제를 읽는다.

 

 

 

 






모바일 버전으로 보기